"미스터북" - 주식투자 & 제주라이프

45. 아마존, 코스트코에 K 뷰티? : 마녀공장(439090) 25,800원 투자등급 B+ 본문

MR.BOOK 주식투자/MR 주식종목 분석

45. 아마존, 코스트코에 K 뷰티? : 마녀공장(439090) 25,800원 투자등급 B+

MRBOOK 2024. 9. 17. 12:50

24.8.1 기준


마녀공장 최근 신문기사 분석

아마존(온라인), 코스트코(미국 오프라인 300점 -> 2025년 400점 목표/8월 대만, 11월 캐나다), 얼타(ULTA/온라인&오프라인 600개), 일본 돈키호테

해외 오프라인 입점 매장수 1만 곳

코스트코 마녀공장 제품

마녀공장 미국서 빠르게 성장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국내

네이버 스토어, 11번가, SSG, CJ, GS홈쇼핑, 브랜디, 에이블리, 무신사, 올리브영, 이마트 트레이더스, 코스트코

해외

아마존, 쇼피, 라자다, 큐텐, 라쿠텐

24년 1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감소하는 이유는 시장 확대에 따라 점유율 늘리기 위해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

K 뷰티 글로벌 시장 이끈 인디브랜드, 국내서도 인기몰이(머니투데이, 24.7.1)

“해외서 더 잘 나간다” 제2의 K 뷰티 전성기 이끄는 인디브랜드(데일리안, 24.6.22)

최근 기사를 보면 긍정적인 기사가 대부분이다.

CEO 관련 기사

유근직 대표 59세, 1965년생

(92년 피어리스-스킨푸드 전신- 일반 사원 입사)

생산 OEM 방식

연 매출 5% 이하 R&D 비용 지출

2024년 200억 원대 공격 마케팅 계획

현재 총 65개 국가 진출

공모가 1만 6천 원 청약 경쟁률 1265 대 1

무상증자 등 주주친화책 중장기 검토 약속

부채비율 23년 말 8% 사실상 무차입 경영

현금성 자산 770억 원(시총 1/4)

마녀공장 차트 분석

3년 차트를 보면 (마녀공장 상장 23.6.8/공모가 1만 6천 원) 상장 시초가에서 내림세 후 보합권에 머물러 있다.

과거 기사를 검색해 보니 상장일에는 시초가 3만 2천 원에서 4만 1600원으로 마감했다. 차트상 최고가 53천 원은 상장 다음날(23.6.9) 거래되었던 가격이다. 현재 가격은 최고가의 절반 정도이다.

1년 차트를 보면 올해 4월 최저가 1만 8천 원 후 소폭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기사를 검색해 보니 올해 4월 4일 미국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사가 처음 나왔다.

3개월 차트를 보면 2만 원대 보합권 등락을 보이고 있다. K 뷰티 부활 이슈가 테마(?)가 되었지만 주가는 그대로이다. PER가 30 이상이어서 고평가 선반영 이유가 있어 보인다.

마녀공장 기업 분석

마녀공장 기업개요

회사 설립은 2012년 3월로 12년 업력의 회사이다.

천연 유래 성분 자연주의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클렌징, 앰풀, 에셋스, 비건 화장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브랜드는 기초화장품 브랜드(마녀공장, 아워비건), 향 특화 브랜드(바닐라부티크), 색조화장품 브랜드(노머시)를 보유하고 있다.

마녀공장 투자 정보

시총 4291억 원, 코스닥 162위, 액면가 100원

PER 39배, PBR 4.3배로 향후 성장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다.

액면가는 100원이다.

화장품 업체 PER는 모두 20이 넘고 대형업체는 30 이상이다.

 

마녀공장 아이투자 스톡 워치 체크

 

성장, 수익, 안전성 모두 90점 이상이다.

24년 1분기 IR 자료

회사 매출 현황이 잘 정리되어 있다.

Ulta USA 7.21 600여 개 매장

TARGER 25년 입점 협의

V 차트는 상장 이전 자료가 업데이트되어 있지 않다.

종목분석

주요주주

엘앤피코스메틱 52%

권오섭/김순원 대표

2018년 12월 엘앤피코스메틱은 마녀공장에 투자를 하여 자회사로 편입했다.

투자 당시 지분 76.5%를 인수했으나 지금은 52% 보유하고 있다.

엘엔피코스메틱은 비상장사이지만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매출은 클렌징 제품 53%, 스킨케어 23%이다.

직원은 90명이다. 연 매출 1천억 원이니 직원 1인당 매출은 11억 원이고 영업이익률 15%를 곱하면 1인당 이익은 1억 6천만 원이다.

23년 기준 수출 비율이 모두 50% 이상이다.

매출 비중이 높은 클렌징은 40%이다.

20년부터 매출과 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회사 설립은 2012년이나 12~19년 매출, 이익 자료는 없다)

자산은 증가하고 부채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21년 최고점으로 22,23년은 하락하였다. 주가가 지지부진한 이유 중의 하나로 보인다.

EPS, BPS, SPS(주당 매출액) 모두 증가하고 있다.

PER / PBR 비교

마녀공장은 PER가 상대적으로 높고 23년 PBR은 급등했다.

대주주 엘앤피코스메틱은 지속적으로 지분을 줄였다. 18년 초기 투자 시 76%에서 24년 1월 64%, 2월 61%, 3월 58%, 5월 52%로 24%를 줄였다.

전자공시

악재성 공시는 없다.

마녀공장 홈페이지 분석

마녀를 영어로 표현하면 ma : nyo..^^

화장품 회사답게 홈페이지 디자인이 이쁘다.

홈페이지에서 제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다.

회사 연혁 등 회사 소개 자료는 없다.

 

누적 기부액 22억 원으로 기부사업도 하고 있다.

마녀공장 사업보고서 분석

연결대상 회사 1개

(일본 법인 지분 100%/자산 18억 원/화장품 판매업)

특이한 사업 없이 화장품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신용등급 BBB+

투자등급이긴 하지만 부채비율 8%인데...?

18년 이전 상 받은 내역이다.

엘앤피코스메틱(주)가 마녀공장 지분 70% 인수

(위 기사에는 76.5%라고 되어 있다)

22년 김현수/황관익 -> 유근직 대표 변경

22년 액면분할 1만 원 -> 100원

최대주주 변동

제이에스코스테일 -> 황관익/김현수 -> 엘앤피코스메틱

깔끔하다. 주식 수 1637만 주

자연 유래 발효 추출물에서 찾은 미백 케어 기능성 제품으로 시작

매출 1천억 원에 원재료 등 원가는 400억 원 수준이다.

원재료 가격은 3년 동안 오르지 않았다.

OEM 생산(자체 공장이 없다)

OEM 파트너사 : 코스맥스, 클라젠

내수, 수출,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비슷한 비중으로 판매 중이다.

3개(A, B, C) 사 매출 비중 45%이다.

A, B, C는 어느 회사?

주요 목표시장 :클린 뷰티 시장

키워드 : 유기농 화장품, 남성화장품 수요, 지속가능성

키워드 : 낮은 진입장벽=경쟁 심화, ODM/OEM 업체 활용, 가치소비, 업체 수 연평균 20% 증가, 온라인 시장 성장

키워드 : 비건뷰티, 경쟁사 지속 확대

시장점유율은 산출 불가다.

마녀공장 비교우위 사항

  1. 성분 기반 엄격한 제품 기획력(비건, 무첨가)
  2. 온라인 채널 기반 운영력
  3. 시장 니즈에 맞춘 카테고리별 히트제품 보유
  4. 시장가격 제어 능력(전 채널 직접 운영)
  5. 가치소비 트렌드에 걸맞은 브랜드

회원권 23억 원 증가?

엘앤피코스메틱 최대 출자자 박선희 25.7%

지분감소는 단순 처분으로 되어 있다.

유근직 대표는 화장품 업계 경력만 있다.

대표이사 스톡옵션 424,800주 행사가 10,504원

(45억 원??)

마녀공장 핵심사항 / 리스크 / MR 투자등급

핵심사항

해외시장 확대가 주가 상승의 핵심 요인

(65개국 진출, 아마존/코스트코 대형 소매점 입점)

영업이익률 회복 가능?

(해외시장 확대 추진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 예상)

K-뷰티 붐 다시 부상?

미국, 유럽 등 빅마켓 매출 확대 지속 가능?

지난 10년간 화장품 업계는 내리막이었다.

리스크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의 매출과 수익 증가 지속 여부(낮은 진입장벽)

추가 해외시장 시장진출 성공 및 매출 확대 가능 여부

MR 투자등급((A/B~C~ D/F)

B+

코스닥 상장 후 주가는 내리막이나 최근 호재성 기사와 미국 등 빅마켓 진출 성공 가능성

이전 주식분석 포스팅

 

728x90
반응형